말종들

2023. 8. 2. 06:46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오판과 편견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 노인 폄하 논란의 중심에 선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지금 투표하는 많은 이들(노년층)은 미래에 살아있지도 않을 사람들이라며 옹호했다. 김 위원장이 앞서 남은 수명에 따라 청년과 노인의 투표권 경·중에 차등을 줘야 한다는 취지의 말을 인용해 정치권의 질타가 쏟아지자 양이 의원이 김 위원장을 거들고 나선 것이다.

 

양이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김 위원장의 당시 발언을 소개한 뒤 지금 어떤 정치인에게 투표하느냐가 미래를 결정하지만, 지금 투표하는 많은 이들은 그 미래에 살아있지도 않을 사람들이라며 미래에 더 오래 살아있을 청년과 아이들이 그들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어야한다고 적었다.

 

해당 게시글이 문제가 되자 양이 의원은 약 3시간 만에 미래에 살아있지도 않을 사람들이라는 문구를 삭제했다.  지금 투표하는 많은 이들이 미래에 살아있지 않을 거라는 표현은 나이 많은 이들을 비하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청년층의 정치 참여의 필요성과 함께 제 자신을 생각하며 장년층과 노년층의 정치 참여 책임에 대해 쓴 글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 2030 청년층과 만난 좌담회에서 과거 자신의 아들이 왜 나이 드신 분들이 (투표로) 우리 미래를 결정하느냐라고 질문한 것을 언급하며 자기(아들)가 생각할 때는 본인 나이부터 남은 평균 기대 수명까지, 엄마 나이부터 남은 기대 수명을 고려해 비례적으로 투표를 해야 한다고 했고, 문제 제기 자체는 매우 합리적이라고 답했다고 말해 노인 비하 논란에 휩싸였다.

 

이에 혁신위는 입장문을 내고 청년들의 정치 참여를 독려했을 뿐 1 1표라는 민주주의 기본 원칙을 부인한 바 없다 중학생의 아이디어를 왜곡해 발언 취지를 어르신 폄하로 몰아가는 것은 사안을 정쟁적으로 바라보는 구태적 프레임이자 전형적인 갈라치기 수법이라고 했다.

 

그러나 여당은 물론 민주당 내부에서도 비판이 잇따랐다. 중진인 이상민 의원은 무지한 것인지, 인식 자체가 잘못된 건지 모르겠다 그런 인식과 자세로 당 혁신위원장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근본적 의문이 든다고 했다. 같은 당 조응천 의원은 지독한 노인 폄하 발언이라며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제도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에서도 비판이 쏟아졌다. 윤재옥 원내대표는 “‘미래가 긴 사람’ ‘미래가 짧은 사람이라는 갈등적 표현으로 세대를 대비시키는 순간 (김 위원장) 아들의 순진한 발상은 고도의 정쟁적 주장으로 바뀌기 시작한다고 말했다. 이철규 사무총장은 현대판 고려장 발언이라고도 했다.

 

그런데도 혁신위는 사과할 일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윤형중 혁신위 대변인은 이날 당사에서 열린 혁신위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사안 자체가 세대 간 갈라치기로 소비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정치가 어떻게 청년층 의사를 반영할 것인가로 봐야 할 사안인데 이런 중요한 문제를 늘 이런 식으로 다루는 것이 국민의 정치 혐오를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또 양이 의원의 페이스북 게시글에 대해서도 김 위원장이 한 발언의 정확한 요지를 이해한 발언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조선비즈. 방재혁 기자

 

   출처 : 조선비즈.  양이원영 미래에 살아있지도 않을 사람들이 투표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 오판과 편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은 콩밭에 가 있으니  (0) 2023.08.09
국회가 잠자는 곳인가  (0) 2023.08.03
교사의 자격, 부모의 자격  (0) 2023.08.01
맘카페  (0) 2023.07.31
왜 인간은 점술에 빠질까?  (0) 2023.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