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4. 22. 06:09ㆍ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오판과 편견
<4·10 총선에서 조국혁신당을 선택한 유권자 5명 중 4명은 2019년 조국 사태를 촉발한 조국 대표의 윤리 의식이 약하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여론조사 업체 뉴피니언에 의뢰해 만 18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7~19일 진행한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방식 조사에 따르면, 비례대표 투표에서 조국혁신당을 찍었다는 이들의 80.2%가 ‘조국 대표의 윤리의식이 약하다’는 평가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동의 한다’는 14.6%에 그쳤다.
반면 전체 응답자를 기준으로 보면 동의한다는 응답이 44.6%, 비동의 46.1%로 팽팽했다. 더불어민주연합에 투표한 응답자의 경우 동의(31.1%)보다 비동의(58.4%)가 많았지만, 조국혁신당 투표층과 비교하면 조 대표의 윤리의식이 약하다고 보는 이들이 더 많았다.
조 대표는 2월 8일 항소심에서 ▶자녀 입시비리 혐의 ▶유재수 전 부산 경제부시장에 대한 감찰 무마 혐의 등으로 징역 2년에 추징금 600만원을 선고 받고,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적어도 조국혁신당 지지층에게는 이러한 ‘사법 리스크’ 족쇄가 투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조 대표가 ‘자신의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평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44.3%가 ‘동의한다고 답했고,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6.8%였다. 반면 조국혁신당 투표층으로 좁히면 80.7%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동의 한다는 응답은 14.2%에 불과했다.
앞서 항소심 재판부는 조 대표에 대해 실형을 선고하며 “범행을 인정하거나 잘못을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조 대표 강성 지지층에서는 “조 대표가 이미 충분한 도의적 책임을 졌다”고 주장하는데, 이러한 경향이 조사에서 드러난 것이다. 조 대표는 실형 선고에 대해 지난달 15일 “하급심 판결을 존중하지만 무조건 따르라고 하는 것은 저의 최소한의 헌법적 기본권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한편 조국혁신당 투표층은 다른 정당 투표층에 비해 도덕성을 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례대표 선거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했던 기준’에 대해 조국혁신당 투표층의 25.5%가 ‘정당의 도덕성’을 꼽았다. 국민의미래(33.2%)나 개혁신당(32%) 투표층보다 약 7~8%포인트 낮았다.
조 대표를 비롯한 박은정·황운하·차규근 등 조국혁신당의 당선자들은 검찰 수사를 받거나 기소되는 등 사법 리스크를 안고 있다. 민주당 중진의원은 “조국혁신당 지지층은 '소속 인사의 사법리스크가 문제'라는 생각보다 윤석열 대통령이나 김건희 여사 등을 똑같은 잣대로 수사해야한다는 인식이 더 강한 것 같다”고 했다.>중앙일보. 김정재 기자
출처 : 중앙일보. '조국 실형'에도…조국당 찍은 80% "윤리의식 문제 없다"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 오판과 편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 또 힘 자랑 (0) | 2024.04.24 |
---|---|
안민석 면책특권 (0) | 2024.04.23 |
공존과 공멸의 갈림길 (0) | 2024.04.20 |
그저 돈 쓰는 일만,,, (0) | 2024.04.18 |
국회의장에 법사위원장까지? (0) | 2024.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