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번 찬성입니다...

2020. 8. 25. 09:30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오판과 편견

 

국회가 법을 만드는 입법기관이다보니 자기들에 대한 모든 법은 다 너무 관용의 폭이 크고 특혜성 법까지 마구 만들어대서 걱정인데 이번에 국회의원 4연임 금지 법안이 나올 것인지 궁금합니다. 4연임 반대면 세 번까지 할 수 있다는 것인데 그러면 12년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통합당은 13일 발표한 정강·정책 ‘초안’에 국회의원 4선 연임 금지를 적시했다. 말 그대로 ‘국회의원은 4번 연속해서 당선될 수 없다’는 것. 김 위원장은 “3연임까지 한 의원들은 한 번 쉬라는 얘기가 아니다”며 “그동안 쌓은 정치적 역량으로 시장이나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 출마하거나 여당일 경우에는 내각의 일원으로 국정에 참여할 기회를 제도적으로 열어주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적 논란이 큰 사안인 만큼 이 개정특위가 마련한 초안은 앞으로 통합당 의원총회와 전국위원회의 의견수렴을 거쳐 구체적인 안과 정강·정책에 포함될지 등이 최종 결정된다.

 

개정특위는 당초 논의 과정에서 동일 지역구 4연임 금지안을 고려했다. 한 지역구에서 내리 3번 당선된 의원은 다음 총선에선 공천을 받을 수 없으니 수도권이나 험지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하거나 불출마하라는 뜻이다. 그러나 개정특위가 최종적으로 내놓은 안은 3연임 이후 지역구를 옮겨 출마하는 것조차도 허용하지 않는 강경안이었다. 중진 의원들은 반발했고, 초·재선 의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렸다.

 

논란 끝에 개정특위는 초안에 3선이든 4선이든 21대 국회의원은 모두 초선으로 간주한다는 규정을 마련했다. 이 경우 4연임 금지는 21대 국회의원이 앞으로 3선을 더 채우고 난 뒤인 2032년 첫 번째 대상이 나오게 된다. 중진들의 불만은 다소 수그러들었다. 윤 의원이 12일 발의한 ‘4연임 금지법’(공직선거법 개정안) 역시 과거 당선 횟수는 세지 않고, 21대 국회를 첫 번째 당선으로 보고 있다.

 

‘국회의원 4연임 금지’ 목소리가 나오는 가장 큰 이유는 세대교체의 시스템화다. 이를 제도화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투명한 인적 쇄신을 담보해야 한다는 건 의원뿐 아니라 보좌관, 당직자 등 국회 구성원들도 상당히 동의하는 부분이다.

 

4연임 제한 논란은 도지사, 시장, 군수 등과의 형평성 문제로도 이어진다. 지방자치단체장의 경우엔 장기 집권의 ‘폐해’ 등을 고려해 3연임까지만 허용된다. 같은 선출직이지만 유독 국회의원의 경우엔 이 같은 제한이 없다. 통합당의 한 보좌관은 “일부 중진이 연임 제한에 대해 ‘국민의 선택권을 제한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헌’이라고 주장하지만 시장, 도지사의 연임은 3번으로 제한하고 있는 법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라며 “잠재적 경쟁자인 자치단체장에 대해선 세대교체, 물갈이를 법으로 규정해 놓고, 자신들은 제한을 받지 않겠다는 것 자체가 코미디”라고 말했다.

 

의원 4연임 제한에 대한 가장 큰 우려는 중진 의원들의 부재 가능성이다. 민주당의 한 중진 의원은 “행정부 장차관, 국장 중에는 10년, 20년 이상 장기 근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들을 상대하는 입법부 국회의원들은 12년으로 연임을 제한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미국 연방의회를 방문해 보면 20년 이상 의정 경험을 쌓은 상하원 의원이 많다. 4연임 제한이 오히려 정치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위상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했다.

 

반면 “국회의 기능 회복을 위해 의원 임기 제한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문재완 한국외국어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2018년 ‘국회의원 임기 제한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연임 제한은) 정치 신인의 국회 진출을 제고하고 당론 정치를 배척하고 국회의 심의 내지 숙의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국회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공익적 가치가 크다고 본다”고 밝혔다. 통합당의 한 초선 의원은 “지역구를 바꿔 5선 국회의장을 한 정세균 총리, 경기도지사를 거쳐 4선 의원을 지낸 손학규 전 대표 같은 중진들이 얼마든지 나올 수 있다”며 “‘중진 부재론’ 등은 텃밭에 안주하고 싶은 의원들 논리”라고 주장했다.

 

통합당 정강·정책에 적시된 4연임 금지안도 비대위와 상임전국위, 전국위 의결을 차례로 거쳐야 한다. 김병민 개정특위 위원장은 “전국위에서는 원외 인사뿐 아니라 현역 의원들의 생각도 중요한데 원내 다수를 점하는 초선들을 비롯해 대부분의 의원이 거시적인 개혁 방향에 공감하고 있다”며 “부결될 가능성보다는 통과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고 전했다.

 

통합당 정강·정책이 다음 달 2일로 예정된 전국위에서 통과될 경우 국회에서 4연임 금지법은 더욱 힘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통합당 박수영 의원은 “정강·정책이 전국위를 통과하면 당론으로 채택된 4연임 금지법을 대표 발의하겠다”며 “당장 9월 정기국회에서 민주당 윤 의원이 발의한 법안과 병합 심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여당의 ‘독주’와 야당의 ‘무기력’이 반복되고 있는 21대 국회에서 ‘정치 혁신’을 화두로 여야 의원들이 머리를 맞댈 수 있을지 주목된다.>동아일보, 박민우 정치부 기자.

 

대통령의 임기가 5년인데 국회의원은 12년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니 이 정도면 괜찮다고 할 것입니다. 솔직히 한 지역을 차지하고 내리 5선이니 6선이니 하면서 전문 영역도 아닌 분야에서 20년을 지키고 앉아 있다는 것이 정말 불합리하다는 생각을 한 지가 오래 되었습니다.

 

우리 국민들은 대다수가 찬성할 것 같은데 이게 법안으로 통과되려면 지금 대통령의 생각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 오판과 편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빛 좋은 개살구  (0) 2020.08.27
금속 활자 얘기가 왜 나왔는지  (0) 2020.08.26
대한민국 의원의 수준  (0) 2020.08.24
도토리 키재기  (0) 2020.08.23
세상에서 가장 쉽고 편한 일  (0) 2020.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