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13. 08:15ㆍ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우리 속담에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이 있습니다.
소를 잃기 전에 외양간을 고쳤으면 소를 잃지 않았을 것인데 잃고 나서야 고치니 문제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잃고 나서라도 고치면 다시 소를 잃는 일이 없을 것이니 그것도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소를 잃고도 외양간을 고치기는커녕 금방 까맣게 잊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박원순 시장 시절에 광화문 광장에 ‘세월호 추모기념관’을 계속 유지했다가 광화문광장을 다시 개장하면서 추모관을 없앤다고 그 유족들이 엄청난 항의를 하고 지금 야당이 된 더민당에서 그걸 유지해야 한다고 야단을 떨었는데 과연 그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유즘 '우영우' 때문에 팽나무가 인기라고 하는데 진도 팽목항은 팽나무항구입니다. 그 팽목항은 세월호 참사로 널리 알려진 곳입니다. 요즘 이 팽목항의 근황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광화문에 추모관을 유지하자고 떠드는 사람들 지금 당장 팽목항에 가보는 것에 좋겠습니다.
<팽목항에서 운항하는 H해운 소속 여객선의 안전 불감증과 승객에 대한 횡포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팽목항은 2014년 4월 16일 304명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 상처가 남아있는 곳이다.
참사 후 분향소가 차려지고 유가족이 사고해역을 찾을 때 반드시 거치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H해운 여객선은 팽목항 방파제에서 40~50m가량 떨어진 곳에서 출항한다. 주요 기항지는 관사도~관매도~동거차도~서거차도 등이다.
중앙일보 취재 결과 여객선 승선 전 탑승자 신원 확인이나 차량 고박 등의 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 승객 신원 확인은 세월호 사고 당시 탑승객 신원과 숫자가 확인되지 않아 혼란을 겪은 후 강화된 규정이다.
현행 해운법 상 ‘여객운송사업자는 여객에게 신분증 제시를 요구하여 승선권 기재내용을 확인해야 한다’고 돼 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이는 선박에 비치된 H여객선 운항관리규정에도 담겨 있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또 승선 때 운전자와 동승한 승객을 차에서 내리게 한 뒤 신분증을 검사하는 절차도 무시됐다.
H여객선 관계자는 “매일 같이 탑승하는 주민이 많은데 굳이 신분증 검사를 할 필요가 있겠느냐. 물론 신분증 검사를 못하는 날도 있지만 가급적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승선시 자동차에서 승객을 내리게 하는 것 등은 코로나19 사태 이후로 요구하는 게 어려워 실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주민들은 H여객선이 운항하는 구간이 파도가 거세기로 유명한 맹골수도(孟骨水道) 주변이라는 점을 들어 고박(賈舶)장비를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H여객선은 최대 승선인원 279명에 차량 43대를 실을 수 있는 297t급 여객선이다. 하지만 선박 내 차량·화물 고박용 밴드는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해경에 따르면 현행법상 H여객선은 운항시 기항지간 항해시간이 1시간 미만이어서 반드시 차를 고박해야하는 선박은 아니다. 하지만 기상악화 등을 대비해 고박밴드나 장비 등은 규정대로 갖춰야 한다는 게 해경의 설명이다. 선박안전법에 따르면 연안 여객선은 해상 파고가 1.5m 이상, 풍속이 초속 7m를 초과하면 모든 차를 고박하도록 규정돼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서거차도 인근 해역의 파고와 풍속이 고박 기준을 넘는 날이 닷새가량 됐는데도 H여객선은 승용차 등은 고박을 하지 않았다.
H여객선 측은 “규정보다는 현장 상황에 따라 고박 여부를 결정할 때가 많다”며 “(선박 운항) 현장과 규정이 맞지 않은 게 많아 기상 상황이 고박 기준을 넘어서더라도 모든 승용차를 고박하지는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각종 안전장비 등 개선도 요구하고 있다. 이날 갑판 위에 설치된 구명부기(救命浮器) 거치대에는 7개만 비치됐을뿐 대부분 비어 있었다. 구명부기는 선박 조난 때 바다에 던져 물에 떠있는 조난자가 손잡이를 잡고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장비다. 선박과 선내 시설도 낡아 갑판 위에 설치된 승객용 의자 등은 등받이가 떨어져 나가고 녹슨 채 방치된 상태다.
H여객선 관계자는 “구명부기 등 선박 내 모든 안전장비나 시설 등은 모두 법규에 맞게 비치를 해놓은 것으로 안다”며 “고박장치 등도 배 곳곳에 많이 있는데 기상이 크게 나쁘지 않다고 판단되면 사용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H여객선은 가급적 타지 않으려 한다”고 입을 모았다. 자동차는 물론이고 가전제품이나 건축자재 등 대형 상품을 섬으로 실어나를 때마다 불안감이 크기 때문이다. 최근엔 한 가전제품 업주가 “물건을 실을 때 고박을 잘 하는지 해경이 와서 봐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주민 정모(55)씨는 “객실에 앉아 있다가도 파도가 요동칠 때면 고박을 하지 않은 내 차가 움직일까봐 내려가 보게 된다”며 “한 달에 1~2번은 뭍으로 나가는데 홀숫날에는 이 배만 운항하니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이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선원들의 불친절한 태도나 선박 관리 미흡 등에 대한 불만도 컸다. 사소한 일에도 고함을 치거나 선원 2~3명이 몰려가 고압적인 언행을 하는 바람에 주민은 물론이고 관광객까지 번번이 봉변을 당한다는 게 주민들의 지적이다. 이에 대해 한 공무원은 “(승무원들이) 주민은 물론이고 경찰관이나 공무원들까지 안 싸운 사람이 없을 정도”라며 “워낙 다툼이 잦은 탓에 승객들이 두려워하면서 배에 오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광객들은 “다른 곳도 아니고 팽목항을 오가는 배에서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하느냐”는 반응이다. 현재 팽목항에서 1㎞ 남짓한 곳에는 올 연말 준공을 목표로 ‘국민해양안전관’이 들어서고 있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추진된 약 10만㎡ 규모의 추모 및 재난안전교육시설이다. 이때문에 인근 주민 사이에서 “국비 270억 원을 들여 세월호 추모시설을 지으면서도 정작 팽목항에서 출항하는 여객선 운항에는 관심도 없다”는 말이 나온다.
이에 대해 H여객선 관계자는 “말을 잘 듣는 승객에게 뭐하러 승무원들이 싸움을 걸겠느냐”며 “말귀를 못 알아먹으니 (선원들의) 목소리가 커지는 것이고, 이런 일은 차량과 승객을 실을 때 어쩔 수 없이 매일처럼 발생하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중앙일보. 최경훈 기자
추모관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의 주장이 옳다 그르다를 얘기하기 전에 그 참사 뒤에 과연 우리 안전의식이 바뀌었는지 묻고 싶습니다. 사건만 나면 정치인들의 행사판이 되지만 시간이 조금 지나면 그런 일이 있었는지 기억하는 정치인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추모관을 만드는 것일 거라 생각하는데 위의 기사를 보면 사고가 나지 않는 것이 천운인 것 같습니다. 우리 정치인들 하는 짓거리가 늘 그렇지만 정치인이나 공무원이나 정말 국민을 위해서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 좀 더 생각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들 구름 위를 걷느라 (0) | 2022.08.15 |
---|---|
'행복'을 먹던 시절 (0) | 2022.08.14 |
"중"과 "등"과 "등" (0) | 2022.08.12 |
그놈의 '정치적 논리' (0) | 2022.08.11 |
사람의 무게 (0) | 2022.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