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다리?

2020. 11. 20. 08:49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정말 우리나라 여성단체들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여성가족부만 그렇게 늘 헛발질을 하는 줄로 알았는데 오늘은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의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 사전’ 발표가 아침부터 웃기로 있습니다.

 

‘남자니까 씩씩하게 뚝!

이 뭐가 잘못되었다는 얘긴지 우습니다.

그럼 ’남자가 씩씩하면 되나? 얌전히 놀아요.‘이렇게 해야된다는 얘긴지 궁금합니다.

 

굳이 손을 쓰지 않아도 될 것들을 왜 나서서 문제를 만드는지 모르겠습니다. 돈을 받고 있으니 밥값은 해야한다는 생각이라면 그냥 가만히 있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그렇게 성평등을 강조하면서 왜 ’박원순 시장‘ 건에 대해서는 찍소리도 안내는 것인지요? ‘아빠다리’가 양반다리, 그러니까 가부좌를 말하는 것 같은데 그게 나비다리라는 또 무슨 발상인지 궁금합니다.

 

<"여자는 얌전해야 해!" "남자니까 씩씩하게 뚝!" "아빠다리 하고 앉아볼까?"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은 20일 세계 어린이의 날을 맞아 어린이집과 유치원·학교에서 아이들이 자주 접하는 성차별적 대화와 개선안을 모은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사전'을 발표했다.

 

사전 제작에 의견을 낸 시민들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선생님과 아이들이 대화할 때 성별 아닌 개인 특성에 맞춰 대화하는 편이 좋겠다고 제안했다. '예쁜 수빈이'보다 '밝은 수빈이'가 더 성평등하다는 얘기다. '아빠다리'는 앉았을 때 다리 모양을 본떠 '나비다리'로 바꿔 부르자고 했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널리 쓰이는 '형님반'이라는 명칭은 성별 구분 없는 '7세반'이나 '나무반' 등으로 고쳐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학예회나 역할극을 할 때 '여아는 발레, 남아는 태권도' 식의 성별 고정관념이 아직 남아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학용품 색상이나 생일파티 옷차림을 성별에 따라 달리 정해주는 경우도 있었다.

 

'남녀짝꿍' 제도 역시 짝의 성별을 고정하는 만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어머님'으로 시작하는 알림장이 보호자 역할을 엄마에게만 부여해 성차별적이라는 의견도 제시됐다.

 

서울시 성평등 어린이 사전은 이달 4∼9일 시민 1천53명의 의견을 받아 제작됐다. 제안자 가운데 여성은 73.6%, 남성은 26.4%였고 연령대는 30대가 45.2%로 가장 많았다.

 

백미순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는 "어린이들이 집 이외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에서 아직도 성차별 개선 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아동기부터 성평등한 돌봄과 교육이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아이들에게 ‘밝다’는 말보다 ‘예쁘다’는 말을 하는 것이 아이들이 훨씬 좋아하는 일인데 왜 ‘밝다’라고 얘기를 하라는 것인지 우습다기보다는 좀 황당합니다. 남녀짝꿍은 양성짝꿍으로 바뀌지 않았나요?

 

이런 말장난보다는 요즘 우리 어린이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무슨 고민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해소해주는 것이 백 번 나을 겁니다. 그리고 이젠 우리 사회가 양성평등이 아닌 ‘성 평등’을 교육해야할 것인데 지금 저 재단의 얘기를 보면 ‘성 평등’이 아니라 그저 ‘양성 평등’에 고착된 생각인 것 같아서 염려스럽습니다.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세 노인 때문이 아닙니다  (0) 2020.11.22
매운 라면  (0) 2020.11.21
신내림  (0) 2020.11.19
낙엽, 훈장  (0) 2020.11.18
모든 것이 다 타고 재만 남았다니  (0) 2020.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