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22. 07:05ㆍ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개 한 마리’를 죽이는 일도 법에 따르면 쉽지 않다고 합니다.
며칠 동안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울산의 초등학생 개 물림 사건에 대한 얘기가 계속 꼬리를 물고 있습니다.
뉴스 보도에 따르면 개가 초등학생을 무는 정도가 아닌 물어뜯어 아이의 생명이 위험했다고 하는데 이 개를 살처분한다고 하더니 다시 이야기가 바뀌고 있나 봅니다.
개를 키우는 이유는 여러 가지겠지만 키우는 사람마다 다를 겁니다. 그래서 엄청나게 많은 종의 개들이 있는데 그건 다 사람의 이기심이 만들어낸 결과입니다. 원래 개는 사냥할 때 도움을 주고 집을 지키는 것이 본연의 임무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가축 중에 개가 가장 먼저 길들여졌는데 기록에는 1만 2천년전부터 개가 사람과 함께 생활한 것으로 나와 있다고 합니다.
개의 조상은 늑대라고 합니다. 그동안 여러 설이 있었지만 개는 늑대에서 온 것이 거의 확실하다는 결론에 이르고 있습니다. 사람 손에 길들여져 요즘은 애완견으로 사랑을 받는 많은 개들도 본능은 늑대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겁니다.
그런 개의 본능은 조금도 생각지 않고 개와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이 무척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주먹 만한 개가 사람을 물겠냐는 생각도 있을 것이고, 또 먹이를 주는 주인은 물지 않는다는 얘기가 많다보니 개에 대한 위험은 전혀 생각하지 않는 것이 오늘날의 개에 대한 생각일 겁니다.
요즘 먹고 살기가 힘들어져서인지 개를 버리는 사람들이 많아서 버려진 개 때문에 아주 골치가 아프다고 하는데 개 한 마리 죽이는 것도 법에 따라야한다니 참 좋은 세상입니다.
<울산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초등학생을 물어 크게 다치게 한 개에 대한 안락사 절차가 중단됐다. 경찰은 살처분(안락사)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검찰은 ‘위험 발생 염려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자료 보완을 요구했다. 한 동물단체는 ‘개를 희생시키는 것만이 답이 아니다’며 사고견을 인수하겠다고 나섰다.
21일 사고견을 보호 중인 동물보호소에 따르면 안락사 위기에 놓인 개는 온순한 모습으로 지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보호소 관계자는 “사람을 공격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온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다른 개들은 케이지 안에 갇혀 있으면 꺼내 달라고 짖는 경우가 많은데, 사고견은 사람이 지나가도 짖지 않고 가만히 앉아만 있다”며 “맹견인지 확인하려고 접촉했는데도 얌전했다”고 말했다.
사고견을 키우던 80대 남성은 8세 아이가 개 물림 사고를 당한 직후 개에 대한 권한을 포기했다. 경찰은 이후 사고견이 다시 인명사고를 낼 우려가 크다고 보고 안락사 절차를 진행했다.
그러나 검찰이 위험성을 입증할 추가 자료를 요구하면서 안락사는 보류됐다. 검찰은 현행법상 물건으로 규정되는 동물(압수물)이 보관하기 위험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간접자료를 추가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번에 사고를 낸 개가 전에도 사람을 다치게 했거나 공격성을 보인 추가 사례가 있어야 안락사를 허용할 수 있다는 취지다.
이 사고견을 인수하겠다는 동물보호단체도 나타났다. 동물복지단체 비글구조네트워크는 최근 인스타그램에 게시한 입장문에서 “상상하지 못할 피해를 입은 초등학생과 가족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하며, 어서 완쾌돼 가정의 행복을 되찾길 바란다”고 유감을 표했다.
그러면서도 “개 한 마리를 죽인다고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개를 죽여 이 사건에 대한 합리적 해결점에 도달할 수 있다면 저희 동물권 단체들도 그 희생을 인정하겠다”며 안락사를 반대했다.
이어 “개가 사람을 무는 행위는 개들에게는 본능적이고 직관적인 문제”라며 “도덕적 인식이나 윤리적 기준을 자의적으로 가질 수 있는 지성적 주체가 아니므로 이러한 개에 대해 안락사라는 사회적 처벌은 합당하지 않다. 사회적 책임은 사회적 규범과 법률에 따라 이 개를 제대로 통제하고 관리하지 못한 견주에게 있다”고 했다.
이 단체는 개를 인수할 수 있게 해주면 법 테두리 내에서 안전하게 보호하겠다며 “필요하다면 안전이 담보될 때까지 필요기간 동안 사육공간에서의 이탈도 금하겠다. 그러니 이 개를 살려 달라. 같은 사고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조건만 담보된다면 그 개를 굳이 죽이고 얻을 사회적 가치가 무엇이냐”고 했다.
또 “어떠한 경우라도 인권을 넘어선 이념과 가치는 있을 수 없다”며 “하지만 이 개를 희생시킨다 해서 인권의 가치와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라 볼 수 없다. 또 다른 한 생명의 희생에 대해 부디 다시 한번 돌아봐 달라”고 호소했다.
앞서 지난 11일 울산 울주군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목줄이 풀린 채 돌아다니던 13.5kg의 중형견이 하교하던 A군(8)을 쫓아가 목과 팔 등을 물어 크게 다치는 사고가 벌어졌다. A군은 병원으로 옮겨져 봉합 수술을 받은 뒤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당시 아이를 구한 택배기사는 SBS 유튜브 채널 ‘비디오머그’를 통해 “애가 완전히 대자로 뻗어서 온몸에 피가 흐르는데 시커먼 개가 애 몸을 물고 흔들고 있었다. 개가 물어뜯는 게 아니고 진짜 잡아먹고 있었다”고 말했다.>국민일보. 구자창 기자
삼복더위에 보신으로 최고 인기였던 개고기는 이제 식당이 대부분 없어져 서울에서는 먹기가 힘들어졌습니다. ‘민어’가 보양식에 좋다고 하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 부유층이 아니면 쳐다보기도 힘든 세상입니다.
예전에 여름에 개고기를 많이 먹었던 것은 개가 그만큼 저렴해서 였을 것인데 개고기 먹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들 때문에 식용견을 키우는 곳도 대부분 사라지고 식당도 없어져서 이젠 개고기를 먹는 것도 쉽지 않을 겁니다.
개소리, 개판, 개지랄 등 개에 대해 좋지 않은 말들이 많았지만 이제 그런 말도 다 옛날 말이 될 것 같습니다.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 원인을 몰라서? (0) | 2022.07.25 |
---|---|
대통령님 덕에 뱃지 단 국회의원들,,, (0) | 2022.07.23 |
불쾌지수를 높여주는 사람들 (0) | 2022.07.21 |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 (0) | 2022.07.20 |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0) | 202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