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1. 07:25ㆍ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더민당 당권 주자인 이재명 의원이 “저학력·저소득층에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많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 일부 언론을 중심으로 비판 여론이 일자 “말의 앞뒤를 자르고 왜곡했다”며 30일 반박하고 나섰습니다.
이재명 의원은 전날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이른바 ‘저소득층 발언’으로 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그는 “안타까운 현실인데, 언론 환경 때문에 그렇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당 안팎으로 ‘선민의식’을 언급하는 등 이에 대한 비판여론이 일자 이날 SNS(사회관계망서비스) 트위터에 글을 올려 지난 대선에서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유권자 10명 중 6명이 당시 윤석열 후보에게 투표했다는 내용의 기사를 소개하면서 “안타깝지만 실제 현실은 이렇다”고 반박했습니다.
이 의원은 SNS에서 “초부자·초대기업 감세(를 하고), 대신 지역화폐 일자리예산 같은 서민지원을 축소하는 게 국힘(국민의힘) 정권”이라며 “일부지만 자신에게 피해를 끼치는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이 있다는 게)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런 현실은) 정보를 왜곡·조작하는 일부 언론의 책임이 크다”며 “지금도 제 발언 앞뒤를 자르고 왜곡해 공격한다”고 강조했다고 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이른바 '저학력·저소득' 발언을 놓고 논란이 거세다. 이 의원은 지난달 29일 강원도 춘천으로 이동하던 차 안에서 유튜브 라이브를 켜서 "저학력·저소득층이 국민의힘 지지가 많다"며 "안타까운 현실인데 언론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이 논란이 되자 이 의원은 다시 SNS에 "자신에게 피해를 끼치는 정당을 지지하는 안타까운 현실"이라며 "정보를 왜곡·조작하는 일부 언론의 책임이 크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의원의 이 말이 '계급배반투표'를 언급한 것이라면 새로운 내용은 아니다. 자신의 경제적 계급과 배치되는 정강정책을 가진 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을 가리키는 계급배반투표는 정치·사회적 현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다만 학계에서는 계급배반투표라는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을 이 의원이 말한 것처럼 '언론 탓' 하나의 이유만으로 분석하고 있지는 않다.
계급배반투표를 언론 탓으로 치부하는 것은 결국 국민의 지적 수준을 폄하하는 전제가 깔려 있다. 정치인 본인은 아는데 국민은 뭘 모르고 찍는다는 것이 전제다. 국민이 뭘 모르는 이유는 언론 탓으로 돌리는 논리 구조다. 이런 논리가 극단으로 치달으면 2007년 대선 패배 직후 민주당 진영 일각에서 유행했던 이른바 '국개론(국민이 개○○라는 이론)'으로 흐르게 된다.
국민은 정치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현명하다. 국민은 투표를 할 때 자신이 경제적 계급만 기준으로 삼는 것은 아니며 여러 요소를 함께 고려한다. 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정당이 공천한 후보자다. 정당의 정강정책은 결국 후보자를 통해 현실화하기 때문이다.
후보자의 전과, 후보자의 언행, 후보자의 직계존비속·형제자매와의 관계, 후보자의 정치·행정경력에서 의혹 유무, 후보자 배우자의 공적 자세 등을 국민은 신중하게 살피고 과연 이 후보자에게 자신의 표를 던져도 될지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정당의 정강정책과 무관하게 후보자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 표를 주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이 또한 계급배반투표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로 다뤄지고 있다.
지난 3·9 대선에서 계급배반투표가 실제로 일어났다면 그 원인에 대해서는 누구보다도 이재명 의원이 대선 직후 잘 분석한 적이 있다. 이 의원은 대선 이튿날 있었던 선대위 해단식에서 "이재명이 부족해서 패배한 것이지, 우리 선대위와 민주당원·지지자들은 지지 않았다"며 "모든 책임은 이 부족한 후보에게 있다. 여러분은 최선을 다했지만 이재명이 부족한 0.7%p를 못 채워서 진 것"이라고 연설했다.
그러면서 "나는 우리 국민의 위대함을 언제나 믿는다. 지금의 이 선택도 우리 국민의 집단지성의 발현"이라며 "이재명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긴 일이지, 국민의 판단은 언제나 옳았다"고 강조했다.
모든 게 후보가 부족해서 진 것이라고 연설해 감동을 주고 '눈물의 해단식'을 만들더니 불과 4개월여 만에 손바닥 뒤집듯 입장이 바뀐 것은 어찌된 일일까. 분명 "이재명이 부족해 0.7%p를 못 채웠다"고 하지 않았나. 모든 책임은 부족한 후보에게 있다고 하지 않았던가.
국민은 위대하고 국민의 판단은 언제나 옳다더니, 그 국민은 어디로 간 것일까. 4개월여 사이에 우리 국민이 바꿔치기라도 당한 것일까. 어쩌다가 집단지성을 발현하는 언제나 옳은 위대한 국민은 사라지고, 언론의 조작·왜곡에 속아 넘어가 자신에게 피해를 끼치는 정당을 지지한다는 지성이 없고 선택을 그르치는 부족한 국민만 남았을까.
연설을 미리 준비해 와서 할 때에는 국민이 언제나 옳고 후보인 본인은 한없이 부족하다고 한다. 반면 즉석으로 하는 유튜브 라이브에서는 언제나 옳던 국민이 졸지에 언론 때문에 뭘 모르는 저학력·저소득 국민, 자신에게 피해를 끼치는 정당을 지지하는 어리석은 국민으로 전락한다. 이재명 의원이 생각하는 국민의 진정한 모습은 무엇인지, 이 의원의 본심은 도대체 어디에 있는 것인지 궁금해진다.>데일리안. 정도원 기자
‘언론(言論)’은 ‘신문, 잡지, 방송 등을 통하여 뉴스나 사실을 알리거나 의견과 논의를 전개하여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제가 주로 참고하는 언론은 다음사이트의 것인데 여기는 정부여당에 상대적으로 상당히 비판적인 미디어오늘, 오마이뉴스, 한겨레신문, 경향신문의 기사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솔직히 저도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들 나름대로 근거를 가지고 정부여당을 비판하는 것이니 나무랄 일은 아닙니다. 그런 기사를 많이 싣는 다음사이트가 싫다면 안 들어가면 되는 일입니다.
자기에게 유리한 얘기를 해주는 언론은 괜찮고 비판적인 언론은 탓하고 자신의 말에 책임지지 않고 자신이 한 말에 문제가 생기면 언론 탓으로 돌리는 정치인들을 하도 많이 봐서 뭐 새삼스럽지도 않지만 여기서 한 말과 저기서 하는 말이 이렇게 다른 정치인은 제 기억으론 ‘이 아무개’가 처음입니다. 머지않아 한 입으로 두 말을 하는 그 입 때문에 자승자박이 될 거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짜가 진짜를 몰아내는 (0) | 2022.08.03 |
---|---|
'오불관언'입니다 (0) | 2022.08.02 |
'국민의 부하'임을 (0) | 2022.07.31 |
판박이,,, (0) | 2022.07.30 |
제가 단언컨대,,,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