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폐청산? 이적이

2022. 2. 11. 07:42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적폐청산>이라는 지금 대선정국의 큰 파장으로 떠올랐다고 합니다.

솔직히 저는 이게 왜 문제가 되는지 궁금한데 언론에서는 크게 다루고 있나 봅니다.

 

이게 파장이 커진 것은 ‘문재인대통령의 분노’ 때문이라고 하는데 대통령의 분노라는 말도 사실 어이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건 ‘문재인의 분노’인지 ‘대통령의 분노’인지 분리해서 생각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봅니다.

 

울산시장선거 청와대 개입의혹, 원전폐기서류조작사건 등은 누구 대통령이 되든 시급히 수사하고 그 전모를 국민에게 밝혀야할 것인데 이런 것들을 그냥 묻고 싶은 사람들이 꽤 있을 겁니다.

 

누구든 자신의 치부가 드러나는 것을 좋아할 리야 없겠지만 잘못된 것을 그냥 덮고 가려는 태도는 정말 잘못된 것입니다. 권력의 비호 아래 덮고 있지만 그게 제가 늘 주장하는 대로 얼음이 녹으면 드러날 수밖에 없는 일입니다.

 

문재인대통령이나 이해찬 등 현 정권의 책임자들에게는 지금 정권이 무슨 성역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그간 잘못되었던 것들은 새 정권에서 바로 잡는 것이 뭐가 문제라는 것인지 납득이 가지 않습니다.

 

<집권 시 문재인 정부와 같은 적폐청산이 이뤄져야 한다고 언급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에게 10일 문재인 대통령에 이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정치보복 공언하는 대선후보는 헌정사상 처음"이라며 사과를 요구했다. 이에 원희룡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정책본부장은 "이 후보님, 헌정사상 처음 정치보복을 공언한 대선후보는 바로 당신"이라며 윤 후보를 엄호했다.

 

원 본부장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이같이 밝히고 "정치보복은 윤 후보 사전에 없다. 국민에 사과할 것은 바로 당신이다"고 지목했다.

 

원 본부장은 이에 앞선 글에는 이 후보의 과거 발언이 담긴 이미지를 게재하면서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 윤 후보에 화내기 전에 이재명 후보부터 단속하시죠"라고 적었다. 그가 첨부한 이미지에는 '이재명의 사이다'라는 제목으로 "적폐와 불의를 청산하는 게 '정치보복'이라면 그런 정치보복은 맨날 해도 됩니다"라고 적혀 있다.

 

이 후보의 해당 발언은 문재인 정부 3개월차인 2017년 7월18일, 홍준표 당시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대표가 박근혜 정부에서 작성한 비공개 문건들을 폭로한 청와대와 문 대통령에게 "5년마다 반복되고 있는 전 정권 비리캐기 수사는 이 정권도 예외는 아닌듯하다"며 "반복되는 정치보복쇼"라고 비판하자 반박하면서 나왔다.

 

당시 경기 성남시장이던 이 후보는 페이스북에 '도둑 잡는게 도둑에겐 보복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홍 대표님, 제가 보기엔 보복이 아니라 정의와 상식의 구현으로 보인다"며 "적폐와 불의를 청산하는 게 '정치보복'이라면 그런 정치보복은 맨날 해도 된다"고 꼬집었다.

 

반면 이날 대선후보 신분인 이 후보는 윤 후보를 향해 "지도자의 무능과 사감은 국민에겐 죄악"이라며 "지금 대한민국에는 무능한 복수자가 아니라, 위기에 강한 통합대통령, 유능한 경제대통령이 필요하다"면서 대국민 사과를 요구했다.

 

문재인 정부 2기 검찰총장이었던 윤 후보는 이날 공식 일정 중 취재진을 만나 "저 윤석열 사전에 정치보복이라는 단어는 없다"며 "우리 문 대통령께서도 늘 법과 원칙에 따른 성역 없는 사정을 강조해 왔다"면서 "그런 면에서는 우리 문 대통령과 저와 똑같은 생각"이라고 여권의 공세를 받아쳤다.

 

원 본부장은 이와 관련 페이스북으로 "윤 후보의 발언은 원론적인 입장을 재확인한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며 "윤 후보는 일관되게 문 대통령, 측근세력, 민주당, 정권을 명확히 구분해서 발언해 왔다. 문 대통령을 지칭할 때는 '우리' 자(字)가 습관적으로 붙는다"고 역성을 들었다.

 

그는 "정권이 바뀌면 적폐에 대해 수사할 거냐, 노련한 정치인이면 질문에 대해 곧이곧대로 답변하지 않고 질문을 바꿔서 대답을 했을 것이지만, 윤 후보는 그대로 답변했다. '명백한 범법이 드러나면 어떻게 수사를 안 하냐? 당연히 한다'(는 것)"이라며 "이것은 원칙이고 상식이고 법치주의"라고 강조했다.

 

이어 여권의 반발에 "그러면, 명백히 드러난 구체적 범법에 대해, 그것이 현정권 관련이면 수사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말인가"라며 "윤 후보는 기획수사, 정치보복을 단호히 배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원 본부장은 또 "'정권이 검찰을 이용해서 한 문제가 많다'는 것은, 바로 이 후보의 대장동비리, 김혜경씨 불법비서 갑질과 횡령을 검찰이 수사방해하는 것처럼 지금 이 순간에도 현재진행형인 명확한 구체적 사건"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확대해석해서 대통령의 분노 이미지를 국민들에게 퍼뜨리려는 측근세력들, 정권 전체에 대한 정치보복 프레임을 씌우려는 의도에 국민들은 속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디지털타임스. 한기호 기자

 

예전에 조 아무개 전 법무장관의 문제가 커졌을 때에 나온 말이 ‘조적조였습니다. 자신이 과거에 했던 말들이 다 자신의 발목을 잡는데서 온 것인데 이번에는 이 아무개가 딱 그렇게 걸린 것 같습니다.

 

워낙 말을 자주 바꾸다보니 저는 그 사람의 진정성이 정말 의심되던데 자기가 했던 말을 다 뒤집으면서 남을 비난할 때 쓰고 있으니 참 애처로운 일입니다.

 

이 정권의 사람들은 시작부터 ‘내로남불’로 일관하더니 끝까지 그렇게 가고 싶은가 봅니다. ‘성역 없는 수사’, ‘살아있는 권력에 대한 수사’를 그렇게 강조하던 문재인대통령이 적폐 수사에 왜 발끈했는지 이해가 안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