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손,,,
2010. 5. 11. 22:23ㆍ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오판과 편견
경제학의 고전적 이론 중에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아담 스미스가 쓴 '국부론'이라는 책에 나오는 말로 '보이지 않는 손'은 시장의 기능과 가격을
가르키는 말입니다. 아주 단순한 이론이지만 이 이론은 오랜 시간 동안 자본주의의
기본을 제시한 것으로 각광을 받아 왔습니다.
'보이지 않는 손' 시장에서 공급과 수요에 대한 법칙으로 모든 것은 시장이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공급이 넘치면 시장에서 가격이 떨어지고, 공급에 비해 수요가 넘치면 가각이 하락하기 때문에
다른 요소가 시장 가격에 끼어 들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이 이론은 오랜 시간 자본주의 시장의 기본 바탕이었습니다.
그러나 너무 복잡해진 오늘날의 시장에는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이
케인즈의 수정 자본주의 이론인데 이것이 오늘날의 자본주의의 기본 방침입니다.
렌즈나 사진기의 가격은 아직도 시장이 결정하고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렌즈도 공급이 넘치면 가격이 떨어지기 마련이고, 별 볼일 없는 렌즈도 공급보다
수요가 많으면 가격이 오를 수박에 없습니다.
이것이 현실인 것 같습니다,
'개갈 안 나고 뜬금없는 > 오판과 편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릿고개 넘기 (0) | 2010.05.17 |
---|---|
창덕궁..... (0) | 2010.05.16 |
어머니의 마음 (0) | 2010.05.09 |
효 콘서트 (0) | 2010.05.08 |
미련인지, 향수인지,,, (0) | 2010.05.07 |